본문 바로가기

주경

송광사


송광사로 가는 아름다운 곡선 길에서 조금만 일찍 왔더라면 아름다운 단풍으로 물든 이길을 걸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죽은 고목나무 위에는 많은 사람들이 각자의 소망을 기원하는 돌맹이를 올려 놓았다.



저 멀리 송광사로 들어가는 입구가 보이고



송광사 입구의 작은 집 두채 어떤 용도의 집인지는 모른다.


 
송광사 경내의 아름다운 건축물은 물 속에서 그대로 나타난다.







일반인 출입금지 이곳은 스님들이 공부하는 곳이라 일반인들의 출입을 금지시켜 놓은 곳이다.



일반인 출입금지 구역이라도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들어가서 카메라 셔타를 눌러 본다.



일반인 출입금지 내에서 본 바깥의 풍경도 아름답다.





아름다운 색채가 어우러진 대웅전도 멋지다.

날이 안 좋아서 파란 하늘을 카메라에 담기 힘들었던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송광사는 전라남도 순천시 송광면에 있는 조계산 자락에 새둥지처럼 아늑하게 자리잡고 있다.

송광(松廣)이라는 이름에는 몇가지 전설이 있다.
첫째는 18명의 큰스님들이 나셔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펼 절이라는 뜻이다.
곧 '송(松)'은 '十八(木)+公'을 가리키는 글자로 18명의 큰스님을 뜻하고, '광(廣)'은 불법을 널리 펴는 것을 가리켜서 18명의 큰스님들이 나서 불법을 크게 펼 절이라는 것이다.
둘째로 보조 국사 지눌스님과 연관된 전설이다. 곧 스님께서 정혜결사를 옮기기 위해 터를 잡으실 때 모후산에서 나무로 깍은 솔개를 날렸더니 지금의 국사전 뒷등에 떨어져 앉더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뒷등의 이름을 치락대(솔개가 내려앉은 대)라 불렀다한다. 이 전설을 토대로 육당 최남선은 송광의 뜻을 솔갱이(솔개의 사투리)라 하여 송광사를 솔갱이 절이라 풀었다고 한다.
마지막으로 일찍부터 산에 소나무(솔갱이)가 많아 '솔메'라 불렀고 그에 유래해서 송광산이라 했으며 산 이름이 절 이름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지금 남아 있는 기록에 의하면 송광사는 신라말 혜린(慧璘)선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창건 당시의 이름은 송광산 길상사(吉祥寺)였으며 100여 칸쯤 되는 절로 30, 40명의 스님들이 살 수 있는 그리 크지않은 규모의 절이었다고 한다. 그 뒤 고려 인종때 석조(釋照)대사께서 절을 크게 확장하려는 원을 세우고 준비하던 중 타계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 50여년 동안 버려지고 페허화된 길상사가 중창되고 한국불교의 중심으로 각광받게 된 것은 불일 보조국사 지눌스님의 정혜결사가 이곳으로 옮겨지면서 부터이다.
지눌스님은 9년 동안의(명종 27년1197년 ~ 희종 원년) 중창불사로 절의 면모를 일신하고 정혜결사운동에 동참하는 수많은 대중을 지도하여 한국불교의 새로운 전통을 확립하였다.
이 때부터 송광사가 한국불교의 중심으로 각광받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정유재란, 6.25사변 등 숱한 재난을 겪었으나 지속적인 중창불사로 지금의 위용을 갖출 수 있게 되었다.
 
 
* 파란글씨 : 송광사 홈페이지에서 인용함.


2009년 11월 19일 전라남도 송광사에서 석훈이와

'주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천루가 있는 목동의 아침  (0) 2010.03.10
물이 그린 그림  (0) 2010.02.23
평사리 최참판댁에 가면  (1) 2010.02.10
이곳에 가면  (0) 2010.02.09
안개와 소나무  (0) 2010.01.25